본문 바로가기

쓰고

[논문] 성인학습, 평생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도구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리뷰페이퍼 Kang, D. J. (2007). Rhizoactivity: Toward a postmodern theory of lifelong learning. Adult Education Quarterly,57(3), 205-220. 성태제 외. (2012). 최신교육학개론 (2판). 서울: 학지사. 12장. Lakoff, G., Johnson, M., 노양진·나익주 옮김. (2006). 삶으로서의 은유 (수정판). 서울: 박이정. Ch. 1-4(pp. 21-52) 성인학습, 평생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도구 이 논문들에는 우리가 ‘학습’이라는 현상을 이해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세 가지 서로 다른 방식이 등장한다. 첫 번째는 은유metaphor다. Lakoff와 Joh.. 더보기
삶에서 발견하는 교육 지난 학기 수업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기말페이퍼를 매체 기고용으로 다듬은 버전 원문은 요기 (생애경로, 이행, 그리고 교육학의 문제) 꽤 많이 편집/수정함 ㅇㅇ 에서 내는 격월간 교육전문지 (2012년 3,4월호)에 기고한 글 삶에서 발견하는 교육 죽은 시인의 사회를 넘어선 교육비평을 상상하다 얼마 전, 교원 임용고사에서 교육학 객관식 시험을 폐지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이미 내년도 시험을 준비하는 친구들의 얼굴이 스치며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공부하는 내 입장에서 보다 관심이 가는 것은 이 기사를 통해 드러난 교육학의 위상이었다. 교육학이 이렇게 주요 매체에서 기사화되어 다뤄질 정도로 이슈가 된 것이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그리고 매체를 통해 드러나는 교육학에 대한.. 더보기
생애경로, 이행, 그리고 교육학의 문제 2011년 2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세미나 기말페이퍼 문장 구성, 표현 등등 고칠 부분이 많은데.. 귀찮아서 그냥 올림 -_-;; 생애경로, 이행, 그리고 교육학의 문제 들어가며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교육 문제’라고 하면 많은 이들은 자연스레 ‘학교’와 관련된 문제를 떠올릴 것이다. 일상의 문제, 사회 문제로서 ‘교육’을 넘어 ‘학문’의 차원에서 바라봐도 여전히 연구대상으로서 학교는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다(윤병희, 2011). 물론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학교라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위상을 고려할 때, 교육학이 자연스레 점유할 수 있는 연구영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나쁜 일은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대안교육의 성장, 잇따른 대학 자퇴 선언 등 몇 가지 징후들로 드러나는 학교/학력 체계에 대한 균..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에서 '시간'의 문제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Allan, B., & Lewis, D. (2009). Time, individual learning careers, and lifelong learning In J. Field, J. Gallacher & R. Ingram (Eds.), Researching transitions in lifelong learning (pp. 40-49). London ; New York: Routledge. Webb, S., & Warren, S. (2009). Who is the 'responsible learner'? Viewing learning careers through social narratives and recursive methodology. In J. .. 더보기
[논문] 성공적인 삶과 이행기의 역할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Lawrence, J. (2009). Two conceptual models for facilitating learners' transitions to new post-school learning contexts. In J. Field, J. Gallacher & R. Ingram (Eds.), Researching transitions in lifelong learning (pp. 106-120). London ; New York: Routledge. Satchwell, C., & Ivanic, R. (2010). Reading and writing the self as a college student: Fluidity and ambivalence acr..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와 구조(structure)-행위성(Agency)의 문제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발제문 Settersten, R. A. & Gannon, L. (2009). Structure, agency, and the space between: On the challenges and contradictions of a blended view of the life course. Reprinted in W.R. Heinz, J.H. Huinink, & A. Weymann (Eds.), The Life Course Reader: Individuals and Societies Across Time. Frankfurt: Campus Verlag. 생애경로와 구조(structure)-행위성(agency)의 문제 저자들은 서문에서 생애경로 연구의 흐름을 크게 두 가지로 ..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와 학습연구에서 '이행'의 의미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Ecclestone, K. (2009). Lost and found in transiti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concerns about 'identity', 'agency' and 'structure'. In J. Field, J. Gallacher & R. Ingram (Eds.), Researching transitions in lifelong learning (pp. 9-27). London ; New York: Routledge. Ecclestone, K., Biesta, G., & Hughes, M. (2010). Transitions in the lifecourse: The role of identity, age.. 더보기
이야기의 시작에서 만난 이야기들 (녹두호프 이모 구술사 프롤로그) 최종본 책을 내기 위한 편집 과정에서 이모의 삶을 부각시키기 위해 내가 이 강좌를 듣고 이모를 인터뷰하는 작업을 시작하게된 맥락을 삭제하기로 했다. 이건 삭제 전 버전 . 이 글은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에서 주최하는 시민인문강좌 에 참여하며 기획한 작업의 1차 결과물이다. 내가 이 강좌에 참여하고, 이런 작업을 기획하게 된 것에는 뒷이야기가, 아니 뒷이야기‘들’이 있다. 하나는 이 글의 주인공인 ‘이모’와 나의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나와 ‘여성주의’의 이야기이다.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이야기들이 만나는 지점에서 이 작업이 시작되었다. ◇ ◇ ◇ ◇ 내가 이모를 처음 만난 건, 대학에 갓 입학해서 선배들과 동기들과 녹두거리의 술집들을 누빌 때였다. 그 당시 어떤 느낌이었는지 지금은 잘 기억나지 않는다... 더보기
"니기들 정 때문에" (녹두호프 이모 구술사 pdf)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와 교육학 연구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Johnson, M. K., Berg, J. A., & Sirotzki, T. (2006). Relative Age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dvances in Life Course Research, 11, 287-316. Kerckhoff. A. (2003). From Student to Worker. Handbooks of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pp 251-267 생애경로와 교육학 연구 에서 저자들이 다루고 있는 relative age, 혹은 subjective age라는 개념은 생물학적인 속성(세포의 노화 정도)이 아닌 사회적인 기대, 요구를 지시하고 있다. 물론 그 사회적인 기대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