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애경로

생애경로, 이행, 그리고 교육학의 문제 2011년 2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세미나 기말페이퍼 문장 구성, 표현 등등 고칠 부분이 많은데.. 귀찮아서 그냥 올림 -_-;; 생애경로, 이행, 그리고 교육학의 문제 들어가며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교육 문제’라고 하면 많은 이들은 자연스레 ‘학교’와 관련된 문제를 떠올릴 것이다. 일상의 문제, 사회 문제로서 ‘교육’을 넘어 ‘학문’의 차원에서 바라봐도 여전히 연구대상으로서 학교는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다(윤병희, 2011). 물론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학교라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위상을 고려할 때, 교육학이 자연스레 점유할 수 있는 연구영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나쁜 일은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대안교육의 성장, 잇따른 대학 자퇴 선언 등 몇 가지 징후들로 드러나는 학교/학력 체계에 대한 균..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에서 '시간'의 문제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Allan, B., & Lewis, D. (2009). Time, individual learning careers, and lifelong learning In J. Field, J. Gallacher & R. Ingram (Eds.), Researching transitions in lifelong learning (pp. 40-49). London ; New York: Routledge. Webb, S., & Warren, S. (2009). Who is the 'responsible learner'? Viewing learning careers through social narratives and recursive methodology. In J. .. 더보기
[논문] 성공적인 삶과 이행기의 역할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Lawrence, J. (2009). Two conceptual models for facilitating learners' transitions to new post-school learning contexts. In J. Field, J. Gallacher & R. Ingram (Eds.), Researching transitions in lifelong learning (pp. 106-120). London ; New York: Routledge. Satchwell, C., & Ivanic, R. (2010). Reading and writing the self as a college student: Fluidity and ambivalence acr..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와 구조(structure)-행위성(Agency)의 문제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발제문 Settersten, R. A. & Gannon, L. (2009). Structure, agency, and the space between: On the challenges and contradictions of a blended view of the life course. Reprinted in W.R. Heinz, J.H. Huinink, & A. Weymann (Eds.), The Life Course Reader: Individuals and Societies Across Time. Frankfurt: Campus Verlag. 생애경로와 구조(structure)-행위성(agency)의 문제 저자들은 서문에서 생애경로 연구의 흐름을 크게 두 가지로 ..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와 교육학 연구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Johnson, M. K., Berg, J. A., & Sirotzki, T. (2006). Relative Age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dvances in Life Course Research, 11, 287-316. Kerckhoff. A. (2003). From Student to Worker. Handbooks of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pp 251-267 생애경로와 교육학 연구 에서 저자들이 다루고 있는 relative age, 혹은 subjective age라는 개념은 생물학적인 속성(세포의 노화 정도)이 아닌 사회적인 기대, 요구를 지시하고 있다. 물론 그 사회적인 기대와 .. 더보기
[논문] 대학에서의 경험에 부여되는 의미의 차이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Holstein, J. A., & Gubrium, J. F. (2000). Constructing the life course (2nd ed.). Dix Hills, N.Y.: General Hall. CH.5~CH.6 Person, A. E., Rosenbaum, J. E., & Deil-Amen, R. (2005). Colleges, Careers, and the Institutional Structuring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dvances in Life Course Research, 9, 125-149. 대학에서의 경험에 부여되는 의미의 차이 는 “제도로서 학교가 가지고 있는 기능, 개인의 생애에서 학교가 한 ..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와 평생학습에서 '교육'의 역할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Holstein, J. A., & Gubrium, J. F. (2000). Constructing the life course (2nd ed.). Dix Hills, N.Y.: General Hall. CH.3~CH.4 Pallas, M. (2003). Educational Transitions, Trajectories, and Pathways. Handbooks of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pp 165-184. 생애경로와 평생학습에서 '교육'의 역할 이전까지 읽은 생애경로 관련 텍스트들이 대개 개인의 차원에 좀 더 비중을 두고(그것이 agency이든, 해석적 실천이든) 생애경로를 다루고 있었다면, Pallas의 글은 조금 ..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에의 구성주의적 접근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발제문 & 리뷰페이퍼 Holstein, J. A., & Gubrium, J. F. (2000). Constructing the life course (2nd ed.). Dix Hills, N.Y.: General Hall. CH.1~CH.2 생애경로에의 구성주의적 접근 Chapter2에서 저자들은 ‘생애경로’의 구성주의적 접근에 대해 개괄하고 있다. Chapter1을 통해 살펴본 몇 가지 전통적인 접근들은 추상화된 개념적 틀을 만들고, 그 틀을 활용해 일반화된 용어로 현상을 설명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생애경로’는 시간의 흐름, 인생에서 마주치는 변화와 관련하여 체계화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구성주의적 접근에서 ‘생애경로’는 객관적으로 주어.. 더보기
[논문] 학습의 촉진과 학습문화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Biesta, G., Field, J., Hodkinson, P., Macleod, F. J., & Goodson, I. F. (2011). Improving learning through the lifecourse: Learning lives. New York: Routledge. ch.7 Elder, G. H. J. (1994). Time, Human Agency, and Social Change: Perspectives on the Life Course.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7(1), 4-15. Holstein, J. A., & Gubrium, J. F. (2007). Constructionist Perspective.. 더보기
[논문] 생애경로를 통한 평생학습 연구 2011 가을학기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리뷰페이퍼 Biesta, G., Field, J., Hodkinson, P., Macleod, F. J., & Goodson, I. F. (2011). Improving learning through the lifecourse: Learning lives. New York: Routledge. ch.1~ch.6 생애경로를 통한 평생학습 연구 읽기자료의 전반부(chapter1~3)는 평생학습을 둘러싼 여러 이슈들을 하나씩 잘 짚어준, ‘개론서’같은 느낌이 들었다. 무형식학습과 형식교육이 이뤄지는 장면에서 학습이 가지는 의미를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지,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풀어주니 정리가 잘 되었다. 특히 인상 깊었던 부분은 학습에 대한 메타포를 다룬 chapter2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