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학습이론

통치의 기술로서 경험학습인증 글도 다듬고 싶은데 시간이 없네...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기말보고서 통치의 기술로서 경험학습인증: 분석과 함의 들어가며: 평생교육에 대한 이유 있는 의심 대학원에 입학한 첫 학기에 우연찮게 ‘교육본위론’을 공부하는 강의를 수강하게 됐다. 교육본위론의 핵심 전제 중 하나는 [학교=교육]이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장상호, 2000). 이러한 관점에 따라 교육본위론에서는 교육학 연구의 시야를 학교라는 틀에 얽매이지 않고 가르침과 배움이라는 현상, 즉 ‘교육’이라는 현상이 관찰되는 모든 시공간으로 확장할 것을 주장한다. 교육과 학습이라는 현상이 결코 학령기, 학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은 분명 평생교육담론과 맞닿아 있는 것이기에, 한 학기 동안 관련된 글을 읽고, 또 동료들과 .. 더보기
[논문] 선행학습경험의 인정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리뷰페이퍼 Leesa Wheelahan. Vocations, 'graduatedness' and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2006). In P. Anderson & J. Harris (Eds). Re-theorising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pp. 241-260). Leicester, UK: NIACE Helen Pokomy. Recognising prior learning: what do we know?. (2006). In P. Anderson & J. Harris (Eds). Re-theorising the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pp. 261-281). L.. 더보기
[논문] 경험학습인증체제에 대한 개관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리뷰페이퍼 Alan. M. Thomas (2000). Prior Learning Assessment: The Quiet Revolution. In R. Arthur L. Elisabeth R. (Eds.), Handbook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pp. 508-522). Jossey-Bass. 이정표 (2003). 경험학습 인증체제의 구축 방향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9(2), 79-98. 경험학습인증체제 개관 경험학습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넘어 실제로 한 사회에서 개인의 경험학습을 어떻게 인정할 것인지, 즉 어떻게 경험학습인증체제를 구축할 것인지 고민하는 것은 평생학습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다. Allan Thoma.. 더보기
[논문] 성인학습에서 경험의 의미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리뷰페이퍼 Billett, S. (2009). Conceptualizing learning experiences: Contributions and mediations of the social, personal, and brute. Mind, Culture, and Activity, 16(1), 32 - 47. Michelson, E. (1996). Beyond Galileo's telescope: Situated knowledge and the assessment of experiential learning. Adult Education Quarterly, 46(4), 185-196. Usher, R. (1989). Locating experience in languag.. 더보기
[도서] 뇌를 변화시키면 공부가 즐겁다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리뷰페이퍼 제임스 E. 줄. 문수인 역(2011). 뇌를 변화시키면 공부가 즐겁다. 돋을새김. 뇌를 변화시키는 기술(The Art of Changing the Brain) 이 책은 생물학의 관점에서, ‘뇌’를 중심으로 교육과 학습을 분석한 연구서이다. 저자는 학습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뇌에 나타나는 ‘물리적’ 변화를 통해 자신의 논지를 전개한다. 학습 사이클은 우리의 삶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다. 생업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우리는 "가르치고 있습니다" "주식을 거래합니다"라는 말 대신 "배우고 있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생물학적인 발상이다. 뇌가 어떻게 진화해왔으며, 이렇게 진화한 뇌의 생물학적 역할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면 그것은 아주 명백해진다(99.. 더보기
[도서] 경험과 교육(존 듀이)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리뷰페이퍼 경험과 교육, 그리고 성인학습 존 듀이의 저서인 은 주로 아동과 교육, 학교에 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듀이의 논의는 성인학습에 있어 ‘경험’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성찰할 수 있는 몇 가지 단서 역시 던져주고 있다. 듀이는 아동이 경험을 통해 성장한다는 명제에 관해, ‘경험의 계속성’이라는 원리를 제시한다. 듀이에게 있어서 교육적인 경험이란, 이후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경험을 의미한다. Just as no man lives or dies to himself, so no experience lives and dies to itself. Wholly independent of desire or intent every experience lives.. 더보기
[논문] 성인학습, 평생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도구 2012년 봄학기 성인학습이론연구 리뷰페이퍼 Kang, D. J. (2007). Rhizoactivity: Toward a postmodern theory of lifelong learning. Adult Education Quarterly,57(3), 205-220. 성태제 외. (2012). 최신교육학개론 (2판). 서울: 학지사. 12장. Lakoff, G., Johnson, M., 노양진·나익주 옮김. (2006). 삶으로서의 은유 (수정판). 서울: 박이정. Ch. 1-4(pp. 21-52) 성인학습, 평생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도구 이 논문들에는 우리가 ‘학습’이라는 현상을 이해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세 가지 서로 다른 방식이 등장한다. 첫 번째는 은유metaphor다. Lakoff와 Joh.. 더보기
상황학습이론 2010년 가을학기 성인학습자연구 기말페이퍼 상황학습이론 I. 들어가며 학습은 경험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며, 평생학습은 그러한 경험의 변화가 내적으로 통일성과 전일성을 획득하는 전 생애적 과정이다(한숭희, 2009). 그렇다면 우리는 이 ‘학습’을 이해함으로써 그 학습을 구성하는 동시에 학습을 통해 구성되는 ‘인간’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관점을 수립해 나갈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학습, 혹은 교육을 학교와 같은 제도적인 기관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으로 바라보는 범주착오의 오류(장상호, 2005)를 범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의 바깥에서 일어나는 비형식, 무형식학습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가 학습이라는 현상을,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이해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될 수.. 더보기
[논문] 상황학습이론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 2010년 가을학기 성인학습자연구 리뷰페이퍼 Hager, P. J., & Halliday, J. (2006). Recovering informal learning: Wisdom, judgement and community. Dordrecht: Springer. Ch. 6-7(pp. 159-201) Gee, J. P. (2000). Communities of practice in the new capitalism.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4), 515-523. Heaney, T. (1995). Learning to control democratically: Ethical questions in situated adult education. Paper presente.. 더보기
[논문] 상황학습이론 2010년 가을학기 성인학습자연구 리뷰페이퍼 Lave, J., Wenger, E., 손민호 옮김. (2010). 상황학습:합법적 주변 참여. 서울: 강현출판사. Wenger, E., & Snyder, W. (2000).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78(1), 139-145. 상황학습이론 상황학습이론을 처음 접하고 느낀 것은 약간의 짜릿함이었다. 그 동안 학습이론을 공부하면서 가지고 있던 약간의 아쉬움을 해소해주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participation metaphor를 acquisition metaphor와 대조해서 다룰 때만 해도 그게 무슨 소리인지 잘 와 닿지 않았었는데, 상황학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