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stein, J. A., & Gubrium, J. F. (2000). Constructing the life course (2nd ed.). Dix Hills, N.Y.: General Hall. CH.1~CH.2
생애경로에의 구성주의적 접근
반면에 구성주의적 접근에서 ‘생애경로’는 객관적으로 주어져 있는, 혹은 어떤 ‘객관적인’ 대상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다. 구성주의적 접근에서 ‘생애경로’는 사람들이 그들의 삶 속에서 마주치는 것들을 이해하고, 묘사하고, 또 해석하기 위해 활용하는 용어/범주라 할 수 있다. 생애경로는 그렇게 삶 속에서 마주치는 많은 것들 중에서도 특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 인생의 ‘단계’ 등에 주목한다. 초반부에 제시된 사례를 보면, 6살짜리 아이도 자기 나름의 해석을 덧붙여 “baby”-“toddler”-“child”와 같은 단계를 나누고, 49살의 중년 여성도 결혼 이후 자신의 삶을 시기별로 “child (bride)”-“middle –aged housewife”-“senior citizen”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런 단계의 구분을 통해, 이들은 자신들의 삶이 가지는 의미를 전달한다. 그리고 이렇게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해 의미 있는 해석을 남기는 것은 그 자체로 삶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앞서 접했던 narrative learning의 개념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여기서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사례로 제시된 6살짜리 아이와 49살의 중년여성 모두 “child”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표현이 의미하는 바가 판이하게 다르다는 것이다. 6살짜리 아이에게 child가 상대적으로 성숙한 단계를 의미한다면, 삶을 회고하는 중년여성이 자신이 갓 결혼했을 때를 child라고 표현하는 것은 순수함, 미성숙을 의미한다. 두 사례에서 “child”라는 용어가 가진 의미는 그 용어를 통해 드러나는 서사적 맥락으로부터 각각 도출된다. “같은 용어가 항상 같은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이렇게 구성주의적 접근은 전통적인 접근에서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이라 가정하는 것들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며 새로운 방법으로 생애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The Analytic Framework
구성주의적 접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개념은 ‘해석적 실천interpretive practice’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해석이 가미된 상호작용, 즉 발화와 언어 사용을 통해 사회적 세계를 형성한다. 실재reality는 사람들의 행위 바깥에 어떤 대상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적 실천을 통해서 조직, 관리, 형성된다. 그런데 이 해석적 실천을 위해서, 즉 우리가 어떤 문제를 해석하고, 상호주관적인 이해를 형성하고, 실천을 기획하고, 의미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것이 사회적, 문화적으로 주어진 범주나 생각들이다. 이런 범주나 생각들은 해석에 필요한 개념적 자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해야 할 점은, 사회적으로 주어진 범주라 할지라도 그 의미는 해석적 실천의 과정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49살의 중년 여성이 자기 나름의 해석적 실천을 통해 스스로를 senior citizen으로 명명할 수는 있지만, senior citizen이라는 표현에 그녀가 부여한 의미와 다른 사람들이 부여하는 의미는 다를 수 있다. 즉 해석적 실천의 자원으로서 제시되는 사회, 문화적 자원들은 결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해석에 따라 범주를 적용하고, 의미를 할당하는 것은 보편타당한 조건이 아닌, 특정한 상황과 상호작용의 맥락 안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사회적, 문화적으로 어떤 삶의 변화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할 수 있는 많은 방식이 쌓여있을지라도, 그 수많은 방식들 중에 무엇을 선택하고 적용할지를 알려주는 것은 바로 ‘상황’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상황이 모든 해석을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 전반에 깔려있는 담론이나 제도들은 분명히 개인의 해석적 실천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럼에도 구성주의적 접근이 보다 많은 설명자원들에 주목하면서 상징적 상호작용이론과 같은 전통적인 접근방식들에 비해 보다 폭넓은 사고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사실이다.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이 소위 “역할”이나 “사회적 자아”와 같은 ‘사회의 담론’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구성주의적 접근은 거기에 더해 다른 전통적인 접근방식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포함하는 ‘개인의 담론’까지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The Life Course Across Culture and History
‘생애경로’는 여러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구체적인 특징들은 문화적으로 정의된다. 미국 사회의 나이 개념은 선형적, 연대기적인 가정들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사회에서는 순환적이거나, 복수의, 가역적인, 비선형적인, 측정할 수 없는 방식으로 시간이 경험된다. 호피족은 동사에 따로 시제가 없고 사건의 지속시간만을 나타낸다고 한다. 대만의 농부들은 ‘생애경로’라기 보다는 ‘순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한 사회에서는 생물학적 나이와 ‘영’의 나이를 구분한다. 동시대의 다른 문화권이 아니라 같은 문화권의 과거 역사를 살펴봐도 이와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아리에스가 《아동의 탄생》에서 밝히고 있듯, 이전에는 ‘아동’이라는 시기 자체가 생애경로의 한 단계로서 전혀 인식되고 있지 않았다.
이렇게 역사와 문화에 걸쳐, 삶의 변화를 구성하는 방식은 굉장히 다양하다. 생애경로의 정의와 의미는 문화적인 믿음과 가정에 의해 구체화된다. 이렇게 보면 생애경로는 일종의 ‘메타포’로 생각될 수 있다. 메타포로서, 개인의 생애경로에 대한 서구적인 개념은 사회, 역사, 문화적 조건과 가정들을 반영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렇게 구성된 메타포는 일종의 문화적인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개인들은 그렇게 문화적으로 박혀있는, 그들의 삶에 대한 이론에 의해 이끌린다. 그 문화 안에서 일반적인 이론들은 각 개인들이 경험을 정렬하고, 그들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연속성이나 단절을 보여주기 위해, 그리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사회에서 생애경로, 삶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문화적 언어, 이론들이 동원되는 것을 보면, 단 하나의 자연스런 생애경로나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의미’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Constructionist Assumption
구성주의적 접근은 생애경로에 관해 ‘객관적인’ 특징들을 찾아내고자 하기 보다는, 어떻게 사람들이 해석적 실천을 통해 생애경로를 ‘구성하는지’를 검토한다. 여기서 초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가, 혹은 경험이 의미를 획득하는가’이다.
Bracketing the Life World:
생활세계에 괄호를 친다는 것은 사전에 불필요한 가치판단을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생애경로는 확고하게,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재가 아니다. 그것은 ‘구성되고’, ‘해석을 통해 유지/변화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많은 전통적인 접근방식들처럼 특정 기준에 따라 ‘정상’과 ‘일탈’을 구분하는 것은 구성주의적 접근의 관심이 아니다. 구성주의적 접근에서는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 스스로 말하게 하고, 그들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관심을 기울인다.
예를 들어, ‘성숙함’이 문제가 되는 상황이라면, 연구자가 ‘성숙함’을 미리 규정하기 보다는, 상황에 관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어떤 해석 작업을 통해 ‘성숙함’이라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구성주의적 접근방식이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누군가가 성숙하냐, 아니냐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가 성숙하다거나 그렇지 않다는 것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선언되고, 성취되는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Situated Rationality:
모든 과학자들이 합의할 수 있는 ‘합리성’의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성주의적 접근에서는 합리성을 실제적인, 또는 상황적으로 조건화된 문제로서 다룬다. 어떤 상황에서 합리적이라고 여겨질 수 있는 행동도, 다른 상황에서는 비합리적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놀이방의 간호사들이 딸을 보러 온 아버지와, 뭔가를 수리하러 온 잡역부의 ‘위생 상태’에 관해 이중 잣대를 적용하는 것처럼, 어떤 문제에 관해 ‘합리적인’ 주장이나 기술은 ‘그 상황에서 작동하는 합리성’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Documenting the Construction Process:
구성주의적 접근에서 ‘변화’가 지시하는 것은 삶에 대한 ‘감각’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성숙함’에 대해 아버지와 아들이 각자의 논거를 들며 논쟁하는 과정 속에서, 실은 그 논쟁의 테마인 ‘성숙함’이 가진 의미도, 그리고 실은 ‘성숙함’ 그 자체도 함께 변하는 것이다.
Method, Emphasis, and Sources
Method:
구성주의 분석이 가지는 방법론적 함의는, 생애단계로부터 구성되는, 해석적인 과정에 관심을 기울인 것에 있다. 구성주의적 접근이 자료로 삼는 것은 해석적 ‘실천’이다. 그 해석적 실천을 통해 생애경로는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연구자들은 그 생애경로를 구성하는 다양한 담론, 과정, 그리고 상황을 ‘해체’해서 드러낸다.
Emphasis:
1) 생애경로의 구성은 사회적 과정이다.
2) 해석적 실천은 우리의 행위, 객체, 상황에 대한 이해를 조직하지만, 동시에 상황에 의해 조건화된다.
3) 생애경로의 구성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다.
4) 해석은 기술적인descriptive 동시에 수사적이다rhetorical.
Sources:
1) 인간의 삶에서 생애경로가 주제가 되는 수많은 사례들
2) 인간 발달, 노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들
'쓰고 >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대학에서의 경험에 부여되는 의미의 차이 (0) | 2011.10.23 |
---|---|
[논문] 생애경로와 평생학습에서 '교육'의 역할 (0) | 2011.10.16 |
[논문] 학습의 촉진과 학습문화 (0) | 2011.09.26 |
[논문] 생애경로를 통한 평생학습 연구 (0) | 2011.09.19 |
[논문] 생애사 글쓰기를 앞두고 (0) | 2011.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