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비평

잉여의 교육학을 시작하며 잉여의 교육학을 시작하며 한국사회에서 잉여의 의미는 이중적이다. 잉여란 기본적으로 생산적이지 못한, 그래서 쓸모없는 존재를 뜻한다. 하지만 동시에 잉여는 그러한 비주류성에 근거한 유희정신, 그리고 창발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카테고리의 제목인 ‘잉여의 교육학’은 바로 이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담고 있다. 여기에서 풀어낼 이야기들은 학계의 엄밀하고 체계화된 이론적 검증을 거친 것들이 아니다. 즉 학문후속세대로 할 수 있는 대학원생의 입장에서 보면 아무 쓸데없는 시간낭비로 비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암암리에 가정하는 교육이라는 테두리, 그리고 일반화된 교육학이라는 학문의 테두리 바깥의 ‘잉여’로 존재하는 콘텐츠를 통해 교육의 다양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면, 그 테두리 내부의 고민을 풍부하게 하는데 오.. 더보기
삶에서 발견하는 교육 지난 학기 수업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기말페이퍼를 매체 기고용으로 다듬은 버전 원문은 요기 (생애경로, 이행, 그리고 교육학의 문제) 꽤 많이 편집/수정함 ㅇㅇ 에서 내는 격월간 교육전문지 (2012년 3,4월호)에 기고한 글 삶에서 발견하는 교육 죽은 시인의 사회를 넘어선 교육비평을 상상하다 얼마 전, 교원 임용고사에서 교육학 객관식 시험을 폐지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이미 내년도 시험을 준비하는 친구들의 얼굴이 스치며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공부하는 내 입장에서 보다 관심이 가는 것은 이 기사를 통해 드러난 교육학의 위상이었다. 교육학이 이렇게 주요 매체에서 기사화되어 다뤄질 정도로 이슈가 된 것이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그리고 매체를 통해 드러나는 교육학에 대한.. 더보기